<p></p><br /><br />단 1개 입원이 가능한 서울시 중증 환자 병상 수입니다. <br> <br>기존 병원 만으로는 병상 확보가 어렵자, 서울 추모공원에 병상을 새로 만드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건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늘어나는 중증 환자를 수용하기 위해 병상을 새로 짓는 방안이 추진중입니다. <br><br>서울대병원은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서울시에 서울추모공원 잔디마당을 중증 환자 치료 병상으로 만들자고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[박건영 / 기자] <br>"이 부지에 중증환자 전담 치료 병상 48개가 만들어지는데요, <br> <br>병원에서 파견한 의료진 백여 명이 상주하며 환자를 돌볼 것으로 보입니다. " <br> <br>국립중앙의료원 부지에 설치된 것과 같은 모듈형 시설을 짓는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모듈형 병상은 컨테이너 병상과 달리 중증 환자를 위한 음압 치료 시설과 인공심폐 장치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서울대병원 관계자] <br>"진행하고 있는데, 확정은 아니고요. 우리 땅도 아니고 서울시 땅이라 제안한 상태입니다." <br> <br>계획이 최종 확정되면 늦어도 내년 2월까지는 병상이 마련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국립중앙의료원도 병상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미군기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중수본과 논의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11일 정부는 SOFA 합동위원회에서 국내 미군기지 12개를 반환받았습니다. <br> <br>이 중 일부를 병상 부지로 활용하자는 건데, 미군기지가 감염병 치료에 적합한 환경인지를 따져봐야해 병상 확보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 <br>change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강승희 <br>영상편집 : 강 민